1. 증상: 엑스클론으로 부팅 후 NVMe KIOXIA 256GB 디스크가 표시되지 않음
스토리지 구성
①SATA-0 = 1 TB
②SATA-2 = 256GB –RAID 구성 방식 (Disk2로 고정됨)
2. 원인: 해당 PC BIOS상에서 기본 값으로 RAID On 설정이 되어 있음. 이에 따라 RAID 방식의 디스크로 인식하여 OS가 부팅되도록 설계한 것이 Default 값이므로 Windows에서는 해당 디스크가 보이지만 Linux나 기타 OS에서는 인식하지 못함. 심지어 BIOS 부팅 순서 변경메뉴에서도 해당 디스크를 인식하지 못하게 됨.
3. 해결방법: BIOS 설정을 AHCI 모드로 변경한 후 엑스클론 버전 4.1.95 FC31 모드로 부팅합니다.
Normal Mode 에서는 인식하지 못하므로 FC31이상 최신버전을 사용해야 합니다.
4. 주의사항:
출고 당시 Factory Value OS를 AHCI모드에서 설치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AHCI 모드에서는 정상
적인 OS 부팅이 안될 수 있습니다. AHCI 모드에서 윈도우를 설치했을 때도 정상 부팅이
안된다면 해당 PC는 RAID 전용인지 제조사에 확인해야 합니다.
따라서 엑스클론 복사 작업을 모두 마친 후에는 다시 공장 초기값인 RAID On 모드로 BIOS 설
정값을 변경해야 합니다.
엑스클론 4.1.95 버전은 이 모델에 호환가능하게 수정한 버전으로 반드시 FC31모드나 FC29
모드를 사용해야 합니다.
| |
[그림1] BIOS Setting에서 Raid On을 AHCI 모드로 변경하기
| [그림2] AHCI 모드로 변경 후 FC31모드로 부팅 후 NVMe 디스크 표시됨 |
- 작업 순서 -
1) Enter F2 BIOS Setup
2) System Configuration -> SATA Operation
3) SATA hard operation mode
-Disabled: 이 옵션은 SATA 디스크를 사용하지 않는 옵션으로 모든 디스크가 숨겨집니다.
-AHCI: 이 옵션은 SATA를 AHCI모드로 사용하는 것으로 엑스클론FC31모드로 부팅한 후 복사 작업을 할 수 있습니다.
-RAID On: 이 옵션은 공장 출고 기본 옵션으로 NVMe 디스크를 RAID 형식으로 인식합니다.
현재 해당 노트북은 SATA-0 이 1T 하드가 잡혀 있고, M.2 PCIe 슬럿에 NVMe 256GB 가 잡혀 는데SATA-2로 인식하기 때문에 Disk 순서는 아래와 같이 표시됩니다.
엑스클론 FC31 모드로 부팅 [그림 2] 참조
( ) Disk1 - SATA
( ) Disk2 - USB Booting (X-Clone) 엑스클론 부팅 USB 입니다.
( ) Disk3 - NVMe
- 참고 -
① 해당 노트북은 RAID On 방식으로 SATA를 구성하기 때문에 Linux나 기타 부팅 장치에서는 해당 NVMe디스크를 BIOS 설정에서 Disabled 된 것과 같이 동작합니다.
② 현재까지 나온 Linux 최신 코어에서 RAID On 방식의 디스크인터페이스를 인식하지 못합니다.
③ 이 PC는 윈도우 전용으로 제작된것으로 보이며, 월요일 오전 DELL 서비스센터에 확인한 결과 8세대 이상 PC에서는 윈도우10 전용으로 제작되어 다른 OS 설치가 불가하다고 하며 지원하는 운영체제에Linux는 포함되지 않는다고 합니다.
④ 해당 NVMe디스크를 Linux에서 인식시키기 위해서 어떤 설정을 해야하는지 디스크 우선순위 변경은 프로그램으로 처리할 수 없기 때문에 이와 관련한 BIOS 설정 방법은 DELL AS 센터로 문의하여 답변을 받으셔야 합니다.
⑤ RAID 방식으로 설정하면 BIOS 부팅 메뉴에서도 NVMe디스크가 나오지 않습니다.
⑥AHCI 모드로 변경해야 NVMe 디스크가 표시됩니다. 따라서 다른 OS로 해당 디스크를 표시하기위해서는 BIOS 패치가 이루어져야 합니다.
1. 증상: 엑스클론으로 부팅 후 NVMe KIOXIA 256GB 디스크가 표시되지 않음
스토리지 구성
①SATA-0 = 1 TB
②SATA-2 = 256GB –RAID 구성 방식 (Disk2로 고정됨)
2. 원인: 해당 PC BIOS상에서 기본 값으로 RAID On 설정이 되어 있음. 이에 따라 RAID 방식의 디스크로 인식하여 OS가 부팅되도록 설계한 것이 Default 값이므로 Windows에서는 해당 디스크가 보이지만 Linux나 기타 OS에서는 인식하지 못함. 심지어 BIOS 부팅 순서 변경메뉴에서도 해당 디스크를 인식하지 못하게 됨.
3. 해결방법: BIOS 설정을 AHCI 모드로 변경한 후 엑스클론 버전 4.1.95 FC31 모드로 부팅합니다.
Normal Mode 에서는 인식하지 못하므로 FC31이상 최신버전을 사용해야 합니다.
4. 주의사항:
출고 당시 Factory Value OS를 AHCI모드에서 설치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AHCI 모드에서는 정상
적인 OS 부팅이 안될 수 있습니다. AHCI 모드에서 윈도우를 설치했을 때도 정상 부팅이
안된다면 해당 PC는 RAID 전용인지 제조사에 확인해야 합니다.
따라서 엑스클론 복사 작업을 모두 마친 후에는 다시 공장 초기값인 RAID On 모드로 BIOS 설
정값을 변경해야 합니다.
엑스클론 4.1.95 버전은 이 모델에 호환가능하게 수정한 버전으로 반드시 FC31모드나 FC29
모드를 사용해야 합니다.
[그림2] AHCI 모드로 변경 후 FC31모드로 부팅 후 NVMe 디스크 표시됨
- 작업 순서 -
1) Enter F2 BIOS Setup
2) System Configuration -> SATA Operation
3) SATA hard operation mode
-Disabled: 이 옵션은 SATA 디스크를 사용하지 않는 옵션으로 모든 디스크가 숨겨집니다.
-AHCI: 이 옵션은 SATA를 AHCI모드로 사용하는 것으로 엑스클론FC31모드로 부팅한 후 복사 작업을 할 수 있습니다.
-RAID On: 이 옵션은 공장 출고 기본 옵션으로 NVMe 디스크를 RAID 형식으로 인식합니다.
현재 해당 노트북은 SATA-0 이 1T 하드가 잡혀 있고, M.2 PCIe 슬럿에 NVMe 256GB 가 잡혀 는데SATA-2로 인식하기 때문에 Disk 순서는 아래와 같이 표시됩니다.
엑스클론 FC31 모드로 부팅 [그림 2] 참조
( ) Disk1 - SATA
( ) Disk2 - USB Booting (X-Clone) 엑스클론 부팅 USB 입니다.
( ) Disk3 - NVMe
- 참고 -
① 해당 노트북은 RAID On 방식으로 SATA를 구성하기 때문에 Linux나 기타 부팅 장치에서는 해당 NVMe디스크를 BIOS 설정에서 Disabled 된 것과 같이 동작합니다.
② 현재까지 나온 Linux 최신 코어에서 RAID On 방식의 디스크인터페이스를 인식하지 못합니다.
③ 이 PC는 윈도우 전용으로 제작된것으로 보이며, 월요일 오전 DELL 서비스센터에 확인한 결과 8세대 이상 PC에서는 윈도우10 전용으로 제작되어 다른 OS 설치가 불가하다고 하며 지원하는 운영체제에Linux는 포함되지 않는다고 합니다.
④ 해당 NVMe디스크를 Linux에서 인식시키기 위해서 어떤 설정을 해야하는지 디스크 우선순위 변경은 프로그램으로 처리할 수 없기 때문에 이와 관련한 BIOS 설정 방법은 DELL AS 센터로 문의하여 답변을 받으셔야 합니다.
⑤ RAID 방식으로 설정하면 BIOS 부팅 메뉴에서도 NVMe디스크가 나오지 않습니다.
⑥AHCI 모드로 변경해야 NVMe 디스크가 표시됩니다. 따라서 다른 OS로 해당 디스크를 표시하기위해서는 BIOS 패치가 이루어져야 합니다.